Z세대의 틱톡 퍼스트는 재난 상황에서도 여전했다. 미국 동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이안(Ian)의 위력과 위험성을 가장 빠르게 전한 미디어는 틱톡(Tiktok)이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이안 상륙 시 틱톡에서 활동한 ‘라이브 재난 크리에이터’들을 취재해 보도했다. 이안은 미국 본토에 상륙한 허리케인 중 역대 5번째로 위력이 강했다.
[허리케인의 경로를 분석한 틱톡커]
미국 플로리다에 사는 알렉산더 하케(Alecsander Haake)는 허리케인 상륙에 앞서 세인트루이스 피터스버그 집을 떠나지 않았다. 집 근처에서 허리케인 피난소(evacuation zone)가 있었지만, 이동하기는 너무 늦었기 때문이다. 하케는 뉴욕타임스의 인터뷰에서 “대비 공지가 있었지만 당시 엄마가 일을 하고 있어 움직일 수 없었다”며 “대신 집에서 틱톡 앱을 열고 재난을 기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 고등학생인 하케는 2022년 9월 27일 틱톡에 플로리다를 횡단한 이안의 예상 경로를 보여주는 컴퓨터 스크린을 찍은 틱톡 비디오를 포스팅해 많은 호응을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