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제작·마케팅·유통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음악과 드라마 시나리오 창작영역에서는 AI보다 사람이 만드는 것을 더 선호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시청자의 93%는 사람이 만든 콘텐츠와 AI가 만든 콘텐츠는 명확한 구분과 함께 투명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리서치 기관인 허브 엔터테인먼트 리서치(Hub Entertainment Research)가 발표한 'AI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관계 보고서(AI and Entertainment. How viewers feel about AI and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discovery of content?)에는 AI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93%가 “AI가 활용된 영화나 쇼는 시청자에게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나온다. ‘명확하고 눈에 띄게 표시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67%, ‘확인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6%인 반면, ‘알릴 필요가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단 6%에 불과했다.

(출처 : hub ENTERTAINMENT RESEARCH)

이번 조사는 생성형 AI(Generative AI)에 대한 인지도와 실제 사용 경험, 그리고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의 AI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자 중 70% 이상이 ‘생성형 AI’라는 용어를 알고 있었고, 57%는 ChatGPT와 같은 AI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 중 생성형 AI가 무엇인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고 자신한 응답자는 18%에 불과해, 기술 확산 속도에 비해 대중의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