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Youtube)가 자동 더빙과 립싱크, 브랜드 세크먼트 동적 삽입 등 AI 기반의 새로운 기능을 대거 출시했다.
2025년 9월 16일 뉴욕 맨해튼 피어 57(Pier 57)에서 개최된 ‘Made on YouTube’ 행사에서 유튜브는 유튜브는 최근 실시한 Made on YouTube 이벤트에서 숏폼(Shorts), 라이브 스트리밍, 브랜드 딜, 자동 더빙(auto-dubbing) 등 30여 개 이상의 기능을 발표하며,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는 창작·분석·수익화 전 과정에 걸친 대규모 업데이트로, 플랫폼은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가 1인 제작팀만으로도 방송국 수준의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시대”를 선언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기능 개선을 넘어 글로벌 크리에이터 경제를 이끄는 최대 플랫폼인 유튜브가 AI를 전면에 내세우며 제작·유통·광고 생태계를 다시 짜겠다는 선언에 가까웠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개인 방송’이나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 불리던 크리에이터 활동은 이제 전통 미디어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거대 산업이 되었고, 유튜브의 이번 신기능 공개는 그 전환점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AI 기술이 크리에이터들의 ‘보조 도구’를 넘어 ‘생산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이다. 틱톡(TikTok) 또한 AI 생성 콘텐츠 및 자동 라벨링, 분석 도구 강화 등을 통해 변화의 방향에 동참하고 있다. 크리에이터들은 이 변화 속에서 제작 방식, 수익화 구조, 글로벌 진출의 가능성을 다시 설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