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g in
  • 구독하기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HONG

HONG

[콘텐츠]스트리밍 위기론 대두 속, 독립 스튜디오의 생존법...전 폭스 CEO 체르닌, OTT전용 프로덕션 런칭
스트리밍&소셜

[콘텐츠]스트리밍 위기론 대두 속, 독립 스튜디오의 생존법...전 폭스 CEO 체르닌, OTT전용 프로덕션 런칭

전 폭스 대표이자 미국 유명 미디어 기업인 피터 체르닌. 두 개 사모 펀드(private equity giants)로부터 8억 달러를 투자 받아. 투자 자금으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TV쇼와 영화를 공급하는 독립 스튜디오를 설립할 계획. 넷플릭스가 감원 나서는 등 스트리밍 우려감 속에 독립 스튜디오의 생존 방법은

byHONG
[콘텐츠]2022년 에미상, ‘오징어게임’ 역사를 만들다.
스트리밍&소셜

[콘텐츠]2022년 에미상, ‘오징어게임’ 역사를 만들다.

넷플릭스의 글로벌 1위 시청률을 기록한 '오징어게임', 2022년 에미상도 장악. 9월 12일 열리는 본상 후보작 14개 부문에 이름 올려. 최고 드라마상, 최고 배우상, 조연상 등 주요 부문에 모두 선정되는 쾌거. 비영어권 작품이 최고 작품 후보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 HBO의 '석세션'도 25개 부문에 선정되는 등 오징어게임과 치열한 경쟁

byHONG
무료 [미디어 정책]미국 FCC, 500일 째 공전 중...의문 생기는 FCC의 역할론
플랫폼&정책

[미디어 정책]미국 FCC, 500일 째 공전 중...의문 생기는 FCC의 역할론

미국 방송통신 산업을 규제하는 FCC. 5명 위원 중 한 명이 500여 일째 채워지지 않고 있어 문제. 지난해 10월 바이든 대통령이 지지 손 후보자를 임명했지만, 망중립성 지지, 스메이저 방송사들의 반대 등에 의회 표결이 진행되지 않고 있어. 중간 선거를 앞둔 미국 민주당도 적극 돌파 의지 없어. 방송통신 정책도 표류. 현장에선 무용론도.

byHONG
[엔터테크]NFT…부활의 중책은 ‘NFT티켓’에
플랫폼&정책

[엔터테크]NFT…부활의 중책은 ‘NFT티켓’에

가상화폐 안정성 우려 속 연일 가치 추락. 블록체인 기반 대체불가능한토큰(NFT)도 일일 거래량 및 가치 하락. 그러나 블록체인 대중화와 웹 3.0 확산을 위해선 NFT의 역할이 중요. 특특히,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기업 기업들이 발행하는 NFT의 중요성 커져. 이 중에서도 일반 오디언스와의 교감이 강한 티켓 NFT가 위기 탈출의 핵심이 될 전망

byHONG
[소셜 미디어 서비스]틱톡의 Z세대 지배…강화되는 미국과 중국의 견제
스트리밍&소셜

[소셜 미디어 서비스]틱톡의 Z세대 지배…강화되는 미국과 중국의 견제

Z세대 간 숏 폼 소셜 미디어 틱톡의 급부상 중, 미국 의회와 중국 정부의 견제도 거세. 미국 의회는 FTC 등에 틱톡이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를 중국으로 빼간다고 연일 공세. 틱톡은 ‘모든 정보가 미국에서 처리되고 보관된다’며 반박. 그러나 중국 정부도 온라인 플랫폼 규제 나서면서 쉽지 않은 싸움. 하지만, 시장에의 인기는 더 높아져.

byHONG
[분석]스트리밍으로 요동치는 스포츠  중계 시장
스트리밍&소셜

[분석]스트리밍으로 요동치는 스포츠 중계 시장

스트리밍 서비스 확산으로 미국 스포츠 중계 시장도 급격한 변화. 서부 명문 대학 USC와 UCLA, 중서부 유명 대학 스포츠 리그 '빅텐'으로 이동. 애플의 메이저리그 야구를 중계하는 등 스트리밍의 가세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스포츠 중계권. 아울러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에도 스포츠 콘텐츠 대세. 특히, Z세대들의 인기 스포츠인 대학리그의 중요성도 증대

byHONG
[미디어]글로벌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 올해 3, 240조 원 규모, 2026년에는 3, 900조 원으로 성장
플랫폼&정책

[미디어]글로벌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 올해 3, 240조 원 규모, 2026년에는 3, 900조 원으로 성장

PwC, 52개 국가에서 산업 및 향후 5년 간의 시장 분석. 이 결과 2022년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E&M)은 2020년 팬데믹으로 인한 후퇴를 회복하는 시기. 오는 2026년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 규모를 3조 달러(3,880조 원)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 2022년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은 22.9% 성장한 103조 원.

byHONG
엔터테인먼트의 뉴노멀 지형
AI&미디어, 엔터테크

엔터테인먼트의 뉴노멀 지형

팬데믹 이후 정상을 찾아가고 있는 미국 엔터테인먼트 업계. 매출 등은 2019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은 업종별 차이 존재. ‘탑건’ 등 대작이 이끌고 있는 극장가는 가족 단위 관객의 더 많은 참여가 필요한 상황. 테마파크는 2019년을 넘어. 아울러 LP판의 판매 증가는 팬데믹이 낳은 또 다른 정상

byHONG
‘젊은이들의 콘텐츠 소비 트렌드 변화’...버드와이저의 앤하이저부시 18년 이어온 '슈퍼볼 광고' 중단 검토
스트리밍&소셜

‘젊은이들의 콘텐츠 소비 트렌드 변화’...버드와이저의 앤하이저부시 18년 이어온 '슈퍼볼 광고' 중단 검토

최근 4번의 NFL 슈퍼볼에 연간 평균 640억 원이 넘는 광고비를 집행했던 글로벌 1위 주류 회사 엔하이저부시. 18년 간 이어졌던 광고 집행 중단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NFL광고가 소비자들의 브랜드 확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내부 판단 때문. 슈퍼볼은 여전히 가장 시청률 높은 이벤트지만 미래 소비자 잡기에는 역부족일 수도.

byHONG
[스트리밍]애플, 아마존 그리고 축구. 스트리밍이 만든 ‘새로운 스포츠 중계권’
스트리밍&소셜

[스트리밍]애플, 아마존 그리고 축구. 스트리밍이 만든 ‘새로운 스포츠 중계권’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스포츠 중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인기 최대 스포츠인 크리켓 경기 중계권이 약 70억 달러 규모로 바이어컴18(Viacom18)로 넘어간 데 이어 미국 프로축구리그(MLS) 중계권도 애플 TV가 따냈다. 애플TV는 애플 TV+를 통해 전경기 중계에 나선다. 때문에 기존 TV 사업자가 장악하고 있던 스포츠 중계 시장의 질서와 지형에도 변화가 오고 있다. 스포츠 중계의 미래를 전망한다.

by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