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세대(Gen Alpha)는 TV에서 멀어지지 않는다. 단지 TV를 모를 뿐이다.

알파 세대는 한 번도 유료 방송에 가입하지 않은 코드 네버(Cord-Never) 세대이다.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인공지능(AI) 기술 등 디지털 기기를 접한 첫 세대가 알파 세대다. 그래서 유튜브, 틱톡, 스트리밍 플랫폼 등에서 소비하는 짧은 숏 폼 콘텐츠나 시각적인 콘텐츠에 익숙하고 인터넷과 기술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활용 능력을 가진다.

Z세대(1995~2010년 출생)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를 경험하며 적응한 세대라면, 알파 세대는 디지털 기술이 이미 삶의 일부인, 디지털을 직관적으로 활용하는 세대이다.

미국 프리사이스(Precise) TV와 지레프 인사이트(Giraffe Insight)의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의 85%는 유튜브를 통해 콘텐츠를 시청하고, 70%는 유튜브를 통해 광고를 본다. TV에서 광고를 봤다는 어린이는 35%에 불과했다. 재밌는 것은 어린이의 34%는 유튜브 광고를 보고 그것을 부모님께 사달라고 졸랐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아니, 더 심할 수 도 있다. 과거 지상파 방송이나 만화 채널 투니버스, 어린이 채널 ‘재능TV’ 등을 통해 콘텐츠를 시청했던 아이들이 이제는 ONLY Youtube 세대가 되어가고 있다. 어린이 채널은 가구 기준 시청률 0.1%도 아닌 0.01% 수준이다. 어떤 콘텐츠는 0%의 시청률이 나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