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영화협회(BFI)가 스크린 산업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활용에 대한 분석과 함께, 향후 지속가능하고 윤리적인 기술 통합을 위한 9가지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BFI가 운영 중인 창의산업 R&D 네트워크 ‘CoSTAR Foresight Lab’의 일환으로, 앵거스 피니(Angus Finney), 브라이언 태런(Brian Tarran), 리시 쿠플랜드(Rishi Coupland) 등이 공동 집필하였다.
‘AI in the Screen Sector: Perspectives and Paths Forward(스크린 분야의 AI: 전망과 미래 방향)’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생성형 AI 기술이 영화, TV, 비디오 게임 등 스크린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잠재적 위험, 그리고 제도적 대응 방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BFI의 리서치&이노베이션 디렉터 리시 쿠플랜드는 “이번 보고서는 산업이 기술 변화의 분기점에 서 있다는 위기의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빠르게 행동에 나서야 할 전략적 과제를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생성형 AI는 제작 워크플로우를 단축시키고 콘텐츠 제작의 민주화(대중화)를 이끄는 동시에, 기존 비즈니스 모델과 창작자 생태계를 위협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AI가 영화와 TV의 후반 작업, 음성 더빙, 자막 생성, 콘텐츠 분류 등에 이미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오스카 수상작 '더 브루탈리스트(The Brutalist)'의 발음 교정 작업 등 실제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저작권 침해, 일자리 감소, 데이터 편향으로 인한 문화 다양성 훼손, 높은 탄소 배출 등의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로 지적된다.
다음은 BFI가 제시한 9가지 주요 권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