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대 대통령으로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어 대통령이 되었다.(6월4일 am 6:21)
이로 인해 여소야대의 국내 정치는 여대야소로 바뀌면서 그동안 정체되어 있던 방송과 미디어 관련 법들도 점차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2025년 6월 4일, 제23대 대통령 이재명 당선인의 공식 취임과 함께 대한민국의 방송·미디어 산업을 둘러싼 정책과 제도 환경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지난 몇 년간 미디어 생태계의 급속한 변화, 글로벌 OTT 기업의 시장 잠식, 전통방송의 침체, 그리고 분절화된 규제체계와 정책 주체의 난립 속에서 방향을 잃었던 미디어 산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의 공공성과 산업의 성장이라는 두 목표를 조화롭게 달성하기 위해 이제는 보다 명확하고 통합적인 규제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콘텐츠는 글로벌, 정책은 제자리… 미디어 산업의 병목 구조

지금의 한국 미디어 산업은 모순된 구조 속에 놓여 있다.
콘텐츠 제작 역량은 이미 세계 수준이다. K-드라마와 K-예능은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등 글로벌 OTT 플랫폼을 통해 꾸준히 해외로 유통되고 있으며, 국내 프로덕션의 창작과 제작 역량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물론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역량이 국내 시장에서 충분한 수익과 산업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책과 규제 환경의 ‘병목현상’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