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편에서 살펴본 대로 파라마운트의 WBD 인수 추진은 단순히 가입자 수 확대 차원이 아니다. 이는 콘텐츠 제작비 폭등, 광고 시장 재편, 글로벌 OTT 경쟁 심화라는 3중 압력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시장 독점화가 가져올 부정적 파급도 크다. 전통적으로 할리우드는 다양한 메이저와 독립 스튜디오가 경쟁하며 창작자에게 다채로운 기회를 제공해왔다. 하지만 대형 합병이 거듭되면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바이어(BUYER)’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한 경쟁사 임원은 이번 M&A로 인해 “창작자에게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창구가 20% 줄어드는 효과가 생긴다”고 경고했다. 이는 독립 감독, 신예 제작자가 진입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해 콘텐츠 다양성을 위축시킬 수 있다.
글로벌 제작비 인상 요인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콘텐츠 제작비는 급격히 올랐다. 인기 배우·감독의 몸값 상승, 세트·특수효과 비용 폭증, 인공지능 기술을 포함한 후반 작업 비용 증가가 주원인이다. 넷플릭스와 디즈니는 각각 연간 150~17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있으며, 이는 10년 전의 두 배 수준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OTT 경쟁이 과열되면서 콘텐츠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제작 비용이 인상된 탓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콘텐츠의 공급과 수요가 글로벌화 됐기 때문이 가장 큰 이유이다.
[넷플릭스 제작비 추이(2016~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