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처럼 말하고 인간처럼 대회하는 생성형 AI챗봇 챗GPT(ChatGPT)는 2022년 11월 등장 이후 빠르게 세상을 접수하고 있다. 오픈 AI의 챗GPT는 저널리즘, 교육, 의료, 음악, 미술 등 모든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AI의 적용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고 있다. 생성형AI(Generative AI)는 수백만 가지의 사례를 참조하는 대량 언어 모델(LLM)을 적용하는 만큼, 책을 쓰는 등 인공지능이 전에 하지 못한 업무도 가능해지고 있다.

[구글, SW개발자로 취직한 챗GPT]

동시에 AI의 빠른 확산에 대한 부작용도 제기되고 있다. 챗GPT를 이용해 에세이를 쓰는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수업 시간에 생성형 AI를 쓰지 못하게 하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AI가 인간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 AI가 현존하는 직업을 시장에서 밀어낼 것이라는 우려도 많다.

심지어 가장 큰 경쟁자인 구글(Google)이 내부 테스트를 한 결과 코딩을 담당하는 초급인 레벨3 코더(Coder)로 챗GPT와 채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는 보도도 나왔다. CNBC는 구글과의 인터뷰를 통해 구글 내부에서 자사의 람다(LaMDA)와 챗GPT의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에서 “챗gpt가 코딩 업무를 위한 인터뷰를 받은 결과 채용 기준을 넘었다”는 내부 문건도 있었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2023년 1월 전체 인력의 6%인 1만 2,000명을 해고한 만큼, 이 대답은 구글 내부에서 또 다른 공포로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