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Meta)의 인스타그램과 바이트댄스(ByteDance)의 틱톡(TikTok)은 지금 전 세계 소셜미디어 생태계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두 플랫폼 모두 짧은 영상(숏폼)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 몰입 전략을 내세우며,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겉보기에는 15초, 30초 남짓의 짧은 영상이지만, 그 영상들이 이어지고 연결되는 순간 사용자는 10분, 30분, 심지어 한 시간을 훌쩍 넘겨 플랫폼 속에 머무른다. 숏폼은 단순한 짧은 볼거리의 의미를 넘어 플랫폼 전체의 체류 시간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인스타그램, ‘Link a Reel’로 시리즈 전략 강화

인스타그램은 2025년 8월, 새로운 기능인 ‘Link a Reel(릴스 연결하기)’을 전격 도입했다. 이 기능은 크리에이터가 자신이 제작한 릴스를 서로 연결하여 일종의 에피소드 시리즈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한 편을 본 뒤 후속 영상을 찾으려면 크리에이터 프로필을 뒤져야 했지만, 이제는 연결된 릴스가 자동으로 묶여 노출되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자연스럽게 다음 편을 이어보게 된다. 이는 곧 체류 시간의 증대와 직결된다.

틱톡과 유튜브 숏츠가 이미 플레이리스트·시리즈 기능을 통해 이용자의 ‘연속 시청’을 유도한 것처럼, 인스타그램도 뒤늦게 이 흐름을 따라잡으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측은 해당 기능이 “이용자들의 강력한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곧 숏폼 콘텐츠가 단발적 소비가 아니라 연속적, 서사적 소비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