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과 생성AI(Genegrative AI)의 만남은 진행형(Broadcast meets Genegrative AI in the form of a progressive)
잦아진 뉴스룸과 생성AI의 만남. AI를 이용, 기자들은 보다 창의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물론 지나친 AI에 대한 환상은 금물
미디어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 정책에 대해 정리합니다.
잦아진 뉴스룸과 생성AI의 만남. AI를 이용, 기자들은 보다 창의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물론 지나친 AI에 대한 환상은 금물
미국 2위 케이블TV사업차 차터. 디즈니와 분쟁 이후 역대 최악의 가입자 감소. 스트리밍이라는 대안 존재 상황에서 블랙아웃은 가입자 이탈로 이어져
"문화 예술+콘텐츠+도시=크리에이티브 성수" 동네 전체를 문화 플랫폼으로 만드는 윤광식 성동문화재단 대표
팬데믹 이후 바뀐 언론사들의 수익 공식. "이벤트-구독-몰입-수익" 이벤트 생태계 한국 미디어들에게도 가능할까?
경기콘진원, 2023년 콘텐츠 융복합 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컨설팅데이 개최. 0개의 기업 중 최종 선발된 6개의 기업 대상. 3,000만원 사업화 자금과 기업 진단 제공
"케이블TV는 쉽다"..미국 1위 2위 케이블TV회사들의 스트리밍 시대 생존 전략. 한국에서 주는 메지는 간단 "누워서 보는 TV를 제공했던 초심으로 돌아가라"
9월 28일 메타의 커넥트 2023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28개의 대화형 챗봇' 공개. 유명 셀럽이 팬들과 소통한다는 컨셉트. AI의 성공이 크리에이터에 있다고 믿는 메타
라디오는 죽고 있지만 오디오는 살아남아. 한국 방송사들이 팟캐스트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윕미디어, 2023년 스트리밍 만족도 공개. 맥스가퀄리티 등에서 앞서면서 전체 1위, 넷플릭스는 6위로 밀려. 가격 인상, 피로감이 겹치면서 전체 만족도도 하락. '혼돈의 스트리밍"
매각설에 휩싸인 ABC, 뉴스룸 큰 폭의 경비 절감 요구. 촬영 축소 위해 아이폰 사용 독려. 한국 지상파 방송사들도 대거 적자. 투자 감소 불가피. 6일 오후 1시 30분 '다미랩은 줌(온라인) 진행
동영상 숏 폼 스트리밍 틱톡. 드라마, 영화 유통 플랫폼으로 급부상. 더이상 TV를 보지 않는 10대들에게는 틱톡은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