밉TV(MipTV), FAST서비스를 품다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 밉TV,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FAST 세션을 사상 처음 마련. 방송 시장을 바꾸고 있는 FAST를 유럽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모양새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 밉TV,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FAST 세션을 사상 처음 마련. 방송 시장을 바꾸고 있는 FAST를 유럽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모양새
경기 침체로 빅테크에 번지고 있는 대량 해고 바람이 언론 미디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워싱턴포스트(20명)에 이어 대형 언론사로 확대. WSJ 등이 포함된 뉴스콥도 인력의 5% 구조조정. 구독 매출 하락으로 향후 미래도 불투명. 2022년 뉴스 미디어 정리해고 전년 대비 20% 늘어
버라이어티, 롤링스톤즈 등의 미디어를 운영하는 펜스케 미디어 그룹, 디지털 미디어 불황 속 복스 미디어에 1억 달러 투자해 지분 20% 확보. 복스는 2015년 기업 가치 10억 달러까지 상승했지만 현재는 급락. 하지만, 17개가 넘는 디지털 브랜드와 스튜디오까지 보유한 복스는 상승 가능성 충분. 펜스케도 효율적 투자로 ‘텍스에서 영상’까지 멀티 포맷 확보했다는 평가.
디즈니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조직 개편도 단행. 사업군을 디즈니 엔터, ESPN, 파크 비즈니스 등으로 단순화. 콘텐츠 기획 제작 스트리밍까지 한 조직에 몰아줬고 ESPN 단독 분리
디즈니, 2022년 마지막 분기 실적 발표. 매출 늘었지만 디즈니+ 서비스 시작 후 첫 가입자 감소. 광고 버전 스트리밍 초기 실적 ‘호조’. 그러나 7,000명 해고하고 콘텐츠 투자도 축소하는 등 경기 불황이 디즈니도 덮친 모습. 55억 달러의 비용 절감 계획도 밝혀. 다만 테마파크는 팬데믹 영향 줄어들면서 매출 상승.
팬데믹 이후, 극장 관람객이 급감한 가운데 스트리밍 서비스까지 성장. 극장의 미래가 암울하다는 이야기 나옴. AMC가 미국 극장 최초로 지불 가격에 따라 좌석이 달라지는 '콘서트식' 차등 좌석제 도입
지난해 연말 CEO에 전격 복귀한 밥. 아이거. 오는 2월 8일 CEO복귀 후 첫 실적 발표. 전문가들은 디즈니의 매출은 소폭 상승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익은 스트리밍 서비스 투자 영향으로 여전히 고전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저평가된 주가를 높일 그의 전략에도 많은 관심이 쏠려. 행동주의 펀드 트라이언 등의 간섭이 심해지는 만큼. 단순한 어닝콜이 아니라는 분석.
글로벌 스트리밍 1위 넷플릭스, 광고 모델 저가 상품 1월 구독자 전분기 대비 배 이상 늘어. 11월 도입한 광고 상품은 빠르게 시장에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 넷플릭스는 향후 절반 구독자가 광고 상품을 이용할 것이라고. 아울러 비밀번호 공유 제한 정책은 글로벌 반발 속 시행 시기 저울질. 1억 명 이상의 해적 사용자 막기 위해선 어쩔 없다는 판단.
오는 2월 12일 미국 스포츠 팬의 최대 축제인 NFL 결승전 슈퍼볼이 예정된 가운데, 트위터가 ‘슈퍼볼 기업 광고’를 유치하기 위해 혈안. 10년 전부터 트위터는 슈퍼볼 관련 버즈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1위 플랫폼. 일론 머스크 인수 후 광고주 이탈에 고심했던 트위터. 슈퍼볼로 반전 노리고 있는 트위터.
인터넷, 단말기 중심의 경제 미디어였던 블룸버그 최근 영상 등 멀티 포맷 중심으로 진화 중. 2년 전 유튜브에 대비했던 동영상 퀵테이크 뉴스 이제 스트리밍으로 진화 중. 블룸버그의 전략 분석
블룸버그 미디어, 텍스트에서 벗어나 경제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 영상으로 영역 확대. 이와 동시에 구독자 수 확대를 위해 영 프로페셔널에 집중. CEO 스콧 헤이븐스 인터뷰
NBC유니버설의 스트리밍 피콕(Peacock). 2020년 시작 초기부터 가입자를 겨냥하던 무료 버전 상품 중단. 1년에 만 시간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며 광고했지만, 수익성 강화 트렌드에 전략 전환. 이제 피콕은 가입자 규모보다 내실화에 더욱 집중. 아울러 광고 기반 무료 채널 FAST도 강화. 달라진 피콕의 스트리밍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