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q 미국 유료 방송 구독 '5,000만 가구' 이하로 전략
미국 2분기 코드 커팅 절정. 유료 방송 구독 가구 5,000만 명 가구 이하로. 케이블TV가 더 이상 절대 엔터 플랫폼 아니야
미디어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 정책에 대해 정리합니다.
미국 2분기 코드 커팅 절정. 유료 방송 구독 가구 5,000만 명 가구 이하로. 케이블TV가 더 이상 절대 엔터 플랫폼 아니야
미국 지역 지상파와 스트리밍 "채널 공급 협상권을 둘러싼 갈등" 지역 지상파 "스트리밍을 방송으로 지정해달라", 그러나 스트리밍 "개별 협상 시 가격 인상 요인"
AI와 만나 가치 높아지는 AI게임, '인월드AI' 역대 최대 기업 가치 5억 달러 평가. AI가 만드는 대화형 캐릭터에 투자자와 세간의 관심 쏠려. 인월드는 영화의 미래에도 영향 줄 듯
스트리밍 시대로의 전환, 또 다른 문제는 기술 및 비용 상승. 이에 안정성과 비용 절감 위한 스트리밍 솔루션 아웃소싱 시장 열려. 야후와 NHL과 손잡은 브라이트코브 주목
마스터즈, 윔블던 스포츠 중계에 AI 본격 적용. IBM AI보이스를 이용한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 하지만 아직은 인간의 온도를 담기엔 역부족. AI와 스포츠의 미래
틱톡, 단문 서비스 시장 진출 및 e커머스 플랫폼에도 송출.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도전. 수익 다변화와 함께 경쟁사 단순 카피라는 비판도
미 의회 AI스타트업 앤트로픽 불러 'AI 위험성과 규제 논의하는 청문 개최'. 앤트로픽 CEO "규제 없는 AI 큰 문제 발생할 수도". "글로벌 AI규제 공조도 필요"
17년 써온 파랑새 버린 트위터. 여전히 X와 트위터 공존. 즉흥 경영이라는 지적도. 그러나 스레드로 옮겨간 흐름을 바꾸기 위한 고도 전략이라는 주장도
30세 이하 젊은 세대를 향했던 CW 채널. 드라마 대신 스포츠 중계로 전환.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비용 절감과 젊은 세대들의 이탈 때문. 한국에 주는 시사점
AI, 스트리밍, 보상금 등 한국에도 의미 있는 작가와 배우 조합과 제작사 간 갈등 총정리. 결국 쟁점은 스트리밍, AI를 둘러싼 '투명성' 및 정확한 성과 측정